포켓몬 카드 열풍이 돌고 돌아 전 세계에 퍼지고 있습니다. 한 카드는 몇 억이 넘는 경매에서 고가로 낙찰되기도 했는데요. 이 카드가 지니고 있는 가치와 함께 아이와 더 친해지는 방법 및 아버지들의 재태크 수단으로는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 동시에 알아보겠습니다. 내 자녀가 아버지 세대가 되었을때 가치까지도 함께 말이죠.
등급표
어렵지만 단순한 구조의 등급표 정리
▶ 포켓몬 카드 등급
C 등급(Common): 기본, 일명 똥 카드
U 등급(Uncommon): 기본, 1 진화 2 진화
R 등급(Rare): 소장가치 있음, 홀로 카드
A 등급(Amazing rare): 특별한 홀로 카드
RR 등급(Double rare): 소장가치 있음, V카드
RRR 등급(Triple rare): 소장가치 높음, Vmax or Vstar카드
K(Kahayaku): 찬란한의 일본어
SR 등급(Super rare): 소장가치 높음, 포켓몬스터에 은색 테두리 or 특별 일러스트 디자인
CHR 등급(Character rare): 캐릭터+몬스터
CSR 등급(Character super rare): 캐릭터+몬스터(v, vmax, vstar)
HR 등급(Hyper rare): 무조건 소장해야 함, 무지개 배경
UR 등급(Ultra rare): 무조건 소장해야 함, 금색 배경
P 등급(Promo): 대회 또는 특정 이벤트 발매 카드
SSR(Shiny super rare): 노란색 별 땡땡
✅ A, CHR, CSR, SSR의 경우 특정 팩에서만 등장하는 특별 등급의 순서대로 전설의 고동, Vmax 클라이맥스, 샤이니스타 V 확장팩에서 나옵니다. 추가로 찬란한(K), 프로모(P) 카드도 특별 등급에 해당합니다.
✅ 아이들의 장난감 카드 한 장이 먼 미래에 소장가치 있는 재테크 수단으로 변화할 날이 올지, 쓰레기로 버려질지
✅ 한국의 뮤 카드는 리자몽 가격과 비슷한 시세로 6~8만 원, 북미의 뮤 카드는 9만 원 이상, 일본의 뮤 카드는 10만 원 이상입니다. 그리고 현시점에 뮤 UR은 약 18만 원에 거래가 될 정도로 인기가 높고 귀하답니다.
포켓몬 카드로 재테크하는 시대
아들의 취미활동이 재테크가 되어버린 이유
✅ 원하는 카드를 뽑을 수 있는 확률이 매우 희박합니다. 1 box에 10~30팩 정도로 구성이 되어있고, 1팩 안에는 10장 미만의 카드가 들어있습니다. 그 안에 존재하는 카드의 모습은 개봉을 해야만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개봉 이후에 등급이 높을수록 높은 가격에 거래가 형성됩니다. 희소성에 따라 부여되는 가치로 높은 가격에 거래가 되기도 합니다.
✅ 수많은 종류의 확장팩이 한정판으로만 출시됩니다. 회사에서 제공하는 확장팩의 구매시기를 놓치게 되면 가질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 이유에서 정가 2~3만 원 정도의 확장팩 1 box가 10만 원이 넘는 금액에 거래되기도 합니다. 여기서 미리 사놓는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최소 200% 이상의 재테크가 가능하기도 합니다.
✅ 더 이상 게임이 아닌, 수집 목적의 마니아들 덕분에 희소성, 희귀품, 높은 등급 등 전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카드를 가지는 사람이 점점 줄어드는 상황에서 서로 경쟁하는 구도가 되어버렸습니다. 심지어 출시 25주년이 넘었으며 누적 매출은 상상을 초월하는 조 단위입니다.
어떤 카드가 좋을까?
아빠, 제 장난감인데요?
👍 특별 일러스트로 구성된 카드(SR)는 정말 나오기 힘든 카드이기 때문에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평균적인 확률을 살펴보면 3 Box(90팩)을 사야 겨우 한 장 정도 나옵니다. 마니아들 사이에서 팩 단위로 사는 사람은 거의 드물며 무조건 Box단위로 여유되는 만큼 사들여 혹시 모를 운 좋은 카드를 기대해 본다고 합니다. 90팩 중에서 단 1장이라도 SR 이상 등급의 카드가 나온다면 절대 손해 보는 장사가 아니기 때문에 투자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자녀와의 유대감 형성 및 관계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지나친 재테크 목적의 수집은 오히려 아이의 경쟁심을 부추기거나 빼앗긴다는 느낌이 들게 할 수 있으므로 아이 전용 카드와 본인의 재테크용 카드를 잘 구분하시길 바랍니다.
투자관점
✅ 해외
TCG 감정 회사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는지요? PSA와 BSG에서 높은 등급을 받게 된다면 시장에서도 역시 고가의 가격에 거래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경매에서 3억 8천만 원에 거래가 된 리자몽 카드의 경우도 이곳에서 최고 등급인 10등급을 받았다는 사실을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 국내
국내 시장은 PSA나 BSG 같은 곳이 없으며 소수에 의한 거래가 주거래 방식입니다.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의 수단으로 보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국내 거래에만 국한되어 있지만 가까운 미래에 시장의 판도가 변한다면 다른 나라의 카드를 구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전 세계에서 인정해주는 주류는 북미판과 일본판이라고 합니다.
✅ 스마트 스토어 검색 시 몇만 원 ~ 수십만 원에 거래되는 카드 검색이 가능. 이를 통해 시장의 규모 확대가 예상됨
시세차익
확장팩의 가치
✅ 확장팩 중에서 인기 캐릭터가 단종하는 경우 가격 상승은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소 5만 원이던 카드 한 장이 100만 원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 단종 문제라고 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 1박스에 5만 원 하던 카드가 2022년 12월 현재 20만 원 가까이 되는 가격으로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거래에서 1장 단위로 거래가 되는 것이 아닌 1팩(10장) 단위로 거래되기 때문에 오히려 랜덤박스처럼 의외의 로또 포인트를 기대해볼 수 있는 상황입니다.
✅ 한정판 출시 이후 대량으로 구매가 가능하다면, 단기적인 시세차익의 성과를 거둘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장난감으로서의 주 무대를 생각하고 "이렇게까지 하는 것"이 과연 옳은지 스스로에게 자문자답해보길 바랍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댓글